| 일자 및 시간 | 내용 | 비고 | |
|---|---|---|---|
| 1일차 | |||
| 10/20 (월) |
12:30 ~ 13:30 | o 등록 및 오리엔테이션 | |
| 13:30 ~ 15:30 | o AI 시대, 고등교육 패러다임 전환과 CTL의 역할 재정립 - 고등교육 동향 분석: AI 및 디지털 관련 국제기구와 정부 정책 동향 분석 - AI가 촉발하는 고등교육 생태계의 근본적 변화: 학습환경의 변화, 교수자와 학습자 역할 - CTL 역할 진화: 생태계 변화에 따른 CTL의 역할은 무엇인가? |
도재우 (공주교육대학교 교수) | |
| 15:30 ~ 16:30 | o CTL 담당자를 위한 소통의 기술: 갈등에서 협력으로 - 대학 조직과 구성원의 특성 이해하기 - 갈등 상황에서 효과적인 협의와 조율을 위한 소통 스킬 |
심미자(부산디지털대학교 교수) | |
| 16:30 ~ 17:30 | o 라운드 테이블: 대학 유형 & 업무 유형별 이슈 공유 및 토의 | 심미자(부산디지털대학교 교수), 윤희정(숙명여자대학교 교수학습센터장) |
|
| 17:30 ~ 19:00 | o 석식 | ||
| 2일차 | |||
| 10/21 (화) |
07:00 ~ 09:00 | o 조식 | |
| 09:30 ~ 12:00 | o 데이터 기반 환류 체계 및 환류 프로그램 설계 - 데이터 기반 환류 체계의 개념 및 의의 - 교수·학습지원 적용 사례 - 환류를 위한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: 실습 |
윤희정(숙명여자대학교 교수학습센터장) | |
| 12:00 ~ 13:00 | o 중식 | ||
| 13:00 ~ 15:30 | o AI 기반 수업설계 및 교수·학습지원 전략 - AI기반 수업설계의 이해의 핵심 원리 - AI기반 교수·학습지원 전략: 교수자, 학습자, CTL 차원 - AI기반 수업운영 사례: ASU 등 |
정주영(동의대학교 교육혁신원장) | |
| 18:00 ~ 19:00 | o 석식 | ||
| 3일차 | |||
| 10/22 (수) |
07:00 ~ 09:00 | o 조식 | |
| 09:30 ~ 11:30 | o 느린 학습자를 위한 맞춤형 교수·학습지원 실천 방안 - 느린 학습자의 특성과 CTL 차원의 과제 - 데이터 기반 조기 진단 및 맞춤형 학습지원 프로그램 사례 - 느린 학습자 지원을 위한 교수·학습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전략 |
최은희(마산대학교 교수) | |
| 11:30 ~ 12:30 | o 과정 종료 / 중식 및 귀가 (※ 이수증은 연수원 홈페이지에서 강의평가 후 발급) |
||